개월별 아기의 저작기능 발달
페이지 정보
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-08-16 18:03 조회21,492회 댓글0건관련링크
본문
개월별 저작기능 발달
-신생아
출산이 가까운 태아는 1일에 양수를 500ml정도 마십니다.
즉, 태어나자마자 모유를 마실 수 있고, 생후 1~2일이면 젖을 힘껏 빠는 운동과 모유를 삼키는 운동을 잘 할 수 있게 됩니다.
젖꼭지를 찾아 젖을 물고, 빨아, 입안에 고인 유즙을 삼키는 일련의 동작이 반사운동으로 이루어 집니다.
-3~4개월경
이 즈음에는 유즙영양만으로 발육합니다.
모양이 있는 물건을 입에 넣으려고 하면 삼키지 못하고 반사적으로 혀로 밀어냅니다.
이 반사는 3~4개월 경 부터 사라지기 시작합니다.(포유반사의 감소, 약화)
이 반사가 거의 다 없어지는 것이 5~6개월 경으로 드디어 이유를 개시 할 수 있게 됩니다.
-5~6개월 경
부드럽게 갈아서 으깬 상태(걸쭉한 상태)의 이유식을 입에 넣어 주면, 영아는 입을 아래위로 움직여 음식의 일부가 혀 안쪽으로 이동하면
삼키게 됩니다.
반대로 일부는 입에서 밖으로 나와 버립니다.
서서히 삼킬 수 있는 부분이 많아지고, 어느새 혀로 음식을 입 안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됩니다.
-7~8개월경
혀를 앞뒤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, 작고 부드러운 음식을 혀로 위턱에 눌러서 으깰 수 있게 되는것이 이시기 즈음입니다.
혀로 으깰 수 있도록 조리한 건더기가 들어있는 이유식을 먹을 수 있게 됩니다.
-9~11개월경
혀도 앞뒤뿐만 아니라 좌우로 움직이고 음식을 잇몸 쪽으로 이동시켜, 잇몸으로 으깰 수 있게 됩니다.
7~8개월 보다 더 큰 건더기도 잇몸으로 으깰 수 있는 단단함으로 조리해 주면 먹을 수 있습니다.
-12~18개월경
잇몸으로 씹을 수 있게됩니다.
또한, 일부 큰 어금니도 나기 시작하는데, 어금니가 기능을 할 수 있겓 되는것은 2세 이후입니다.
아직 부드럽게 조리한 식사가 필요합니다.
엄마 아빠의 식사를 조금 나누어 줄 때에도, 부드러운 재료를 선택합니다.
-신생아
출산이 가까운 태아는 1일에 양수를 500ml정도 마십니다.
즉, 태어나자마자 모유를 마실 수 있고, 생후 1~2일이면 젖을 힘껏 빠는 운동과 모유를 삼키는 운동을 잘 할 수 있게 됩니다.
젖꼭지를 찾아 젖을 물고, 빨아, 입안에 고인 유즙을 삼키는 일련의 동작이 반사운동으로 이루어 집니다.
-3~4개월경
이 즈음에는 유즙영양만으로 발육합니다.
모양이 있는 물건을 입에 넣으려고 하면 삼키지 못하고 반사적으로 혀로 밀어냅니다.
이 반사는 3~4개월 경 부터 사라지기 시작합니다.(포유반사의 감소, 약화)
이 반사가 거의 다 없어지는 것이 5~6개월 경으로 드디어 이유를 개시 할 수 있게 됩니다.
-5~6개월 경
부드럽게 갈아서 으깬 상태(걸쭉한 상태)의 이유식을 입에 넣어 주면, 영아는 입을 아래위로 움직여 음식의 일부가 혀 안쪽으로 이동하면
삼키게 됩니다.
반대로 일부는 입에서 밖으로 나와 버립니다.
서서히 삼킬 수 있는 부분이 많아지고, 어느새 혀로 음식을 입 안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됩니다.
-7~8개월경
혀를 앞뒤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, 작고 부드러운 음식을 혀로 위턱에 눌러서 으깰 수 있게 되는것이 이시기 즈음입니다.
혀로 으깰 수 있도록 조리한 건더기가 들어있는 이유식을 먹을 수 있게 됩니다.
-9~11개월경
혀도 앞뒤뿐만 아니라 좌우로 움직이고 음식을 잇몸 쪽으로 이동시켜, 잇몸으로 으깰 수 있게 됩니다.
7~8개월 보다 더 큰 건더기도 잇몸으로 으깰 수 있는 단단함으로 조리해 주면 먹을 수 있습니다.
-12~18개월경
잇몸으로 씹을 수 있게됩니다.
또한, 일부 큰 어금니도 나기 시작하는데, 어금니가 기능을 할 수 있겓 되는것은 2세 이후입니다.
아직 부드럽게 조리한 식사가 필요합니다.
엄마 아빠의 식사를 조금 나누어 줄 때에도, 부드러운 재료를 선택합니다.